▲Work-Poor(워킹푸어) : 일을 열심히 해도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House-Poor(하우스푸어) : 과도한 대출로 집을 마련했으나 대출상환과 주택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 ▲Wedding-Poor(웨딩푸어) : 과도한 결혼비용 지출로 인한 결혼시작과 동시에 마이너스 가정 경제로 시작하는 사람. ▲Baby-Poor(베이비푸어) : 출산과 육아에 과도한 지출로 인해 가정 경제가 흔들리는 사람. ▲Land-Poor(랜드푸어) : 큰 부담을 안고 투자한 부동산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
등등 다양한 파생 푸어족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오늘(7일) 남,녀직장인 496명을 대상으로
<푸어족 체감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가 나왔는데,
흥미롭게도 전체 응답자 10명중 7명정도인 68.1%가 ‘난 푸어족이다’라고 답했습니다.
특히 빛(부채)가 있는 직장인(254명) 중에는
대부분인 81.5%가 ‘푸어족이다’라고 답했고,
부채가 없는 직장인 중에도 54.1%가 스스로를 푸어족이라고 답했습니다.
빚이 있는 직장인들은 그 원인으로,
20대는 ‘학비/등록금’,
30대 40대이상의 직장인들은 ‘내집마련’을 가장 많이 선택했습니다.
조사결과(복수응답)
20대는 본인의 ‘학비/등록금’(73.2%)이 원인이라는 응답자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이상에서는 ‘내집마련’(각54.1%, 61.9%)이 원인이라는 응답자가
과반수이상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외 30대에서는
▲본인의 학비/등록금(26.7%) ▲결혼자금(23.0%) ▲사업자금(14.1%) ▲자녀교육비(10.4%) 순으로 응답자가 많았습니다.
40대이상에서는 ‘내집마련’이 61.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자녀교육비(27.0%) ▲사업자금(19.0%)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40대이상에서는 30대보다 ‘자녀교육비’가 원인이라는 응답자가 급격히 늘었습니다.
한편, 빚이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 버는 수입 한 달 평균 66만원을 빚을 갚는데
사용한다고 답했습니다.
20대는 평균 40만원, 30대는 평균 68만원 40대이상은 평균 84만원으로 연령이 높아갈수록 부채 상환 금액도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부채는 언젠가는 갚아야 할 돈입니다.
항상 마음의 부담을 안고, 다른 곳을(여유)를 생각할 틈도 없이 빛에 쪼들려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가요..?
이 상황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없을가요. ?
무엇보다도 앞으로의 계획이 중요합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가정경제를 파악한 후 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나은 방법을 찾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