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비계산방법, 이혼하는 자녀의 수가 1명,2명,3명일때 자녀양육비계산
양육비계산방법, 이혼하는 자녀의 수가 1명,2명,3명일때 자녀양육비계산
자녀의 나이와 거주지역 그리고 부모의 소득과 재산 상황등을 고려해서
적정한 양육비를 게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이 나왔습니다.
서울가정법원은 2012년 5월 31일 양육비위원회에서 마련한
이혼하는 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확정해서
제정,공표했습니다.
양육비는 여성가족부에서 제공받은
자녀 한명당 평균적으로 들어가는 한달 양육비와
한국의 평균 가구소득득을 조사한 통계자료를 근거로 해서 마련하였습니다.
양육비 산정은 자녀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비용을 보장함과 동시에
자녀에 대한 양육 수준이 이혼 이후에도 동일하게 유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혼하는 가정의 자녀가
도시와(행정구역상 동 지역)과 농촌(행정구역상 읍면 지역) 중에서 어디에서
살고 있느냐에 따라서 부모의 소득등을 참고해서 적합한 양육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 도시에 거주하는 자녀의 양육비 산정기준표 ( 단위 : 만원 ) >>
(2세자녀, 3세-5세자녀, 6세-11세자녀,12세-14세자녀, 15세-17세자녀,18세-20세자녀양육비계산)
양육비 산정기준표에 의하면 도시 거주 6~11세 기준으로
자녀의 양육비는 최소 47만 2,000원에서 최대 149만 3,000원으로 계산을 해서
산정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서 부모의 소득 합산이 300~399만 원이라면 이 자녀의 양육비 기준은
86만 2,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2세아이, 3세-5세아이, 6세-11세아이,12세-14세아이, 15세-17세아이,18세-20세아이양육비계산)
농어촌에 거주하는 3세~5세 자녀의 양육비는 최소 412,0000원에서 1,268,000원으로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녀보다 낮게 산정이 됩니다. 예를들어서 부모의 소득 합산이 400~499만 원이라면 양육비 산정기준표에 의한면 873,000원으로 도시에 거주하는 자녀의 양육비보다 150,000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위 상황은 자녀가 1명일 경우를 기준으로 산정한 테이블이고 자녀가 2명이라면 자녀의 양육비 산정기준표 평균에 1.8 을 곱해서 양육비 총액을 계산하고 자녀가 3명이라면 자녀의 양육비 산정기준표 평균에 2.2를 곱해서 양육비 총액을 계산하면 됩니다. 만약 4명 이상일 경우라면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참고해서 재판부에서 적정한 배수를 정하게 됩니다. * 법원에서 양육비산정기준표를 제시했지만, 이 돈으로는 현재는 살아갈수가 있어서 미래를 준비하기에는 적은 돈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부터 돈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전에 작성해 놓은 포스팅이 있어서 링크 걸었습니다. 소액투자 재테크방법, 적은돈으로 돈불릴 수 있는 재테크노하우 재테크상담수수료, 실력있고 객관적인 상담을 받기 위한 재무설계상담수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