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상 및 건강한 허리둘레기준,혈압기준,체질량기준
살아가면서 만성질환 및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지표가 있는데,
이러한 건강지표는 주요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둘레, 체질량지수(BMI), 혈압, L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 ALT 등 총 6가지 항목이 있는데, 그 중에서 집에서 관리할 수 있는 허리둘레,체질량지수,혈압관리를
위한 기준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질량지수(BMI) 18.5~24.9kg/㎡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는
비만과 과체중을 평가하기 위해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표로서
건강위험도를 평가합니다.
BMI는 체중(kg)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어 구하며, BMI가 높아질수록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골관절염, 고혈압, 암 등의 질병 위험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비만의 기준은 나라별로 조금씩 다른데,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기준은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
BMI가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는 정상, 23이상이면 과체중,
25~30은 1단계 비만(경도 비만), 30~35는 2단계 비만(중증도 비만), 35이상이면
고도 비만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허리둘레 남성 90cm 미만, 여성 85cm미만
건강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 체중보다는 허리둘레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허리둘레는 복부비만의 판정지표로써 복부지방 정도를 나타냅니다.
영국 런던 임피리얼대학 연구진이 유럽 9개국 성인 36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허리둘레가 5cm 굵어지면 일찍 사망할 위험이 13~1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허리둘레는 배꼽 주위를 줄자로 재서
남성의 경우 90cm, 여성의 경우 85cm 이상이면 위험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치 단위로 고치면 남성의 경우 35.4인치, 여성의 경우 33.4인치입니다.
혈압 120/80㎜Hg 미만
혈압은 알고 있다시피 혈액이 혈관 속을 흐르고 있을 때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으로
수축기혈압이 120㎜Hg 미만이고 이완기혈압이 80㎜Hg 미만이면 정상입니다.
고혈압 전 단계 혈압 수치는 수축기혈압 120~139㎜Hg, 이완기혈압 80~89㎜Hg이며,
수축기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Hg 이상일 경우에는
고혈압으로 판정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건강이야기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균성관계시간, 평균성관계횟수 (0) | 2012.08.29 |
---|---|
평균적인 성관계시간 (0) | 2012.08.13 |
포도껍질하얀가루,백색가루가 많을수록 맛있는 싱싱한 포도고르는방법 (0) | 2012.08.10 |
여성 성기인 소음순 색깔이 검정색이거나 늘어지면서 까만색일경우 남자들이 생각하는 오해는 (0) | 2012.08.07 |
성교육 책추천, 아이성교육에서 청소년성교육하기 위한 책소개 (2) | 2012.08.0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