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민연금은 전 국민이 대상이지만 실질적인 대상자는 남자입니다. 기업연금 또한 직장에 다니는 여성들에게만 혜택이 있어 가정 주부들은 공적 연금의 혜택이 전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집에서 살림만 한 전업주부의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나중에 어디서 노후비용을 충당을 해야 할까요?
![]() Mixed Blue Headshot 2 by fensterbme ![]() ![]() |
레이 하몬드미래학자는 최근 그의 저서"2030년의 삶"에서 2030년이 되면 평균수명이 130세가 된다고 예측하였다. 그렇다면 평균 50세에 퇴직을 한다고 하면 80년을 더 살아내야 한다.
특히나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웰빙 생활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평균 수명이 더 길며, 보통 남편보다 아내의 나이가 더 어리다는 것을 감안하면 남편 사후에 아내가 혼자 보내야할 시간은 10년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전체 인구대비 65세이상 노인인구 비율의 변화 ( 단위 천명) - 통계청
년도 |
1960년 |
1970년 |
1980년 |
1990년 |
2006년 |
2010년 |
2018년 |
2026년 | |
남여평균 |
52.4 |
63.2 |
65.8 |
73.5 |
78.6 |
79.1 |
81.0 |
81 | |
평균 수명 |
남 |
51.1 |
59.8 |
62.7 |
69.6 |
75.1 |
76.2 |
78.2 |
79 |
여 |
53.7 |
66.7 |
69.1 |
77.4 |
81.8 |
82.6 |
84.4 |
85 |
우리 국민들은 평균 7000 – 8000 만원대를 의료비로 사용한다고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65세 이후 노년 시기에 생애의료비의 절반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영호 고숙자 연구위원은 “생애의료비 추정을 통한 국민의료비,분석 연구보고서에서’ 20007년 국민건강보험 진료비 청구와 통계청의 생명표를 종합 분석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노년기에는 치매, 당뇨, 퇴행성관절염 등 의료비용이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여성은 출산의 휴유증이 커 잔병치례를 많이 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평균수명이 긴 여성들의 병원비는 노후에 가장 큰 지출이 될 것입니다. 실제로 어느 통계에 의하면 노후에 평균 의료비가 월 100만원 가까이 든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의료비 때문에 생활고에 시달리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노후에는 부모에게 기대지 않으면 다행이지요. 보통 부모들은 자녀를 위한 것이라고 무조건 양보하고 모든 재산을 물려주는데, 그렇다고 부모들을 모시는 경우가 몇 %나 될까요.?
그러므로 자녀에게 너무 투자하지 말아야 하며, 본인의 노후는 스스로 준비하고 책임져야 합니다.
[연금 보험 정보] - 미래를 위한 연금보험 준비
[연금 보험 정보] - 연금보험 가입 절차 이해
[연금 보험 정보] - 변액연금 및 일반연금 장,단점
[연금 보험 정보] - 자신에게 적합한 연금 선택하는 방법.
[보험용어] - 연금보험 용어에 대한 이해
그럼 행복한 하루 되세요. 추천버튼 꾸우욱 눌러주시는 센스 !! 감사합니다.
'미래이야기 > 연금 보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적으로 이건 체크하고 연금보험 가입하자 (0) | 2010.10.12 |
---|---|
어려운 연금보험 용어 알기 (0) | 2010.10.11 |
연금보험 정말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해줄 수 있을까? (0) | 2010.10.09 |
연금제도의 개념과 특징 알아보기 (0) | 2010.10.09 |
변액연금과 일반연금의 장점 비교 (1) | 2010.10.09 |
![]() |